<임신성 당뇨병: 운동요법에 대하여>
임신성 당뇨병(Gestational Diabetes Mellitus)은 임신 중에 발생하는 당뇨병으로, 일반적으로 임신 중·후기에 발생합니다. 임신 중에는 모체의 호르몬 수치가 변화하면서 인슐린 저항성이 증가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혈당 수치가 높아지는 것입니다. 이는 태아에게 더 많은 글루코스 공급을 가능하게 하기 위함입니다. 그러나 몇몇 여성들에서는 이 변화에 인슐린 생성이 충분히 증가하지 않아, 혈중 글루코스 농도가 너무 높아지며 임신성 당뇨로 진행됩니다. 만약 임신 중에 당뇨병이 발생하게 된다면, 태아나 모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합니다. 임신성 당뇨병이 있는 엄마는 제왕절개, 고혈압 임신증후군 등의 위험성이 높아지며, 아기는 과체중 출산, 초기 출산, 호흡 문제, 저혈당 등의 위험성이 높아집니다. 임신성 당뇨병은 대부분의 경우 임신이 끝나면 사라지지만, 어떤 경우는 만성 당뇨병으로 발전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임신 중에는 적극적인 검사와 관리가 필요합니다. 검사는 임신 24~28주에 한 번 실시하며, 이를 통해 혈당 수치가 정상인지 아닌지를 판단합니다.
임신성 당뇨병은 과도한 피로, 빈번한 배뇨, 갈증 증가, 체중 감소에도 불구하고 식욕이 증가하는 등의 증상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증상들은 보통 임신에서 일반적으로도 발생하므로, 임신성 당뇨병은 정기적인 선별 검사를 실시해야 합니다.
임신성 당뇨에 취약한 경우는 아래와 같습니다.
1. 비만 혹은 과체중: BMI가 30 이상인 경우, 임신성 당뇨병의 위험이 상당히 높아집니다. 실제로, 비만이 임신성 당뇨병 발생의 주요 위험 요소 중 하나라는 것이 여러 연구에서 입증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한 연구에서는 비만인 임산부의 경우, 비만이 아닌 임산부에 비해 임신성 당뇨병 발생 확률이 2~8배 더 높았습니다. (Torloni et al., 2009).
2. 고령 임신: 고령의 임산부는 임신성 당뇨병 발생 위험이 더 높습니다. 이는 나이가 들면서 인슐린 저항성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3. 당뇨병 가족력: 당뇨병을 가진 가족이 있는 경우, 임신성 당뇨병 위험이 더 높아집니다.
4. 과거의 임신성 당뇨: 과거에 임신성 당뇨를 경험한 경우, 다시 임신성 당뇨를 앓을 위험이 더 높아집니다.
5. 다산: 여러 번의 임신 경험이 있는 경우 임신성 당뇨병의 위험이 더 높습니다. (Kjos et al., 1995)
6. 특정인종/민족군: 히스패닉, 아프리카계, 원주민, 아시아계, 태평양 섬 주민 등 특정 인종/민족군에서 임신성 당뇨병의 위험이 더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Hedderson et al., 2012)
7. 취침 전 3시간 동안 밝은 조명에 노출되면, 임신성 당뇨 위험이 커진다는 연구결과가 있습니다. 최근, 미국 노스웨스턴대 김민지 교수팀은 임신 주수가 평균 20주인 여성 741명을 대상으로 동일집단 연구자료를 분석한 결과, 취침 전 3시간 동안 매우 밝은 조명에 노출된 임신부는 흐린 조명에 노출된 임신부보다 임신성 당뇨 진단율이 5.49 배 높은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연구팀은 주간이나 수면 중 조명 노출은 임신성 당뇨 진단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면서 취침 전 밝은 조명에 노출되면 교감신경의 과잉활동이 유발돼 포도당 대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출처: YTN 사이언스)
위의 위험 요소들이 임신성 당뇨병을 반드시 초래하지는 않지만, 이러한 위험 요소를 가진 여성들은 임신 중에 주의해야 합니다. 그리고 임신 전후에 이러한 위험 요소들을 관리하고 감소시키는 노력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임신성 당뇨병에서의 운동은 혈당조절과 적절한 체중 관리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합니다. 임신성 당뇨환자에게 가장 좋은 운동방법은 유산소 운동과 저항성 운동이 적절하게 혼합된 운동입니다. 이러한 운동은 임신성 당뇨병을 가진 여성들의 혈당 조절 능력을 개선하며, 이는 더 적은 인슐린 사용과 함께 건강한 체중 증가를 유도합니다.
임상시험 결과, 임신성 당뇨병을 가진 여성들이 6주 동안 하루에 30분, 주 6일의 강도가 낮은 유산소 운동을 진행할 경우 운동을 하지 않은 그룹에 비해 혈당 수치가 더욱 개선되었으며, 그 결과 적은 양의 인슐린을 필요로 했습니다. 그러나 임신성 당뇨병을 가진 여성들은 운동시 특히 주의해야 할 사항이 있습니다. 복부 충격이나 접촉 스포츠, 고강도 운동, 혹은 장시간의 고강도 운동은 피해야 합니다.
◈ 임신성 당뇨환자의 운동요법 ◈
1. 유산소 운동 |
빠른 걷기, 수영, 댄스, 등산, 자전거 타기와 같은 저 강도의 유산소 운동은 임신 기간 동안 안전하며, 심장 및 폐 기능을 개선하고 혈당 수치를 관리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단 심박수가 지나치게 높아지는 고강도 유산소 운동은 삼가도록 합니다. |
2. 근력 운동 |
가벼운 중량을 사용한 저강도의 근력 운동은 근육의 인슐린 감도를 증가시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 그러나 임신 중에는 중량이 너무 무거워서 스트레스를 초래하거나 부상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중량과 반복 횟수를 조절해야 합니다. |
3. 스트레칭 |
스트레칭은 근육의 유연성을 증가시키고, 근육 통증을 줄이며, 편안함을 증가시킵니다. 태아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고강도의 스트레칭은 피해야 합니다. 스트레칭 시 주의사항은 호흡을 참는 동작들입니다. 자연스러운 호흡을 하면서 적절한 스트레칭을 주기적으로 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
특히 운동 중, 아래의 증상이 나타나면 운동을 즉시 멈추고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1. 가슴 통증
2. 현기증 또는 기절감
3. 짧은 호흡
4. 머리 통증, 근육 약화, 얼굴의 반쪽이 저리거나 무감각해짐
5. 복부 통증, 물리적 외상, 출혈
6. 아기의 움직임이 감소함
최근의 연구논문에 의하면 당뇨병 환자의 운동요법에서 질병 요인보다 체력 요인과 심혈관 위험 요인에 더 많은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었습니다. 당뇨병 환자는 신체적 요인 중 심폐 기능이 가장 중요한 요소로 강조되었는데 이는 심폐력을 향상시키는 유산소 운동이 당뇨병 환자의 운동 재활 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이와는 반대로 혈중 지질 수준은 연구된 요인 중에서 가장 낮은 중요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이는 혈중 지질 수준이 당뇨병 환자의 운동 재활 관리에 있어 다른 요인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당뇨병 환자는 심폐력 강화를 위한 유산소 운동이 가장 중요하며 이상지질혈증은 그 위험이 상대적으로 낮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해석은 이 논문의 결과에만 근거한 것이며, 개별 환자의 상태와 필요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합니다. (Pan D et al., 2022)
임신 전 운동을 해왔던 임산부의 경우 매일 30분 걷기와 같은 유산소 운동과 운동 중 계단 오르기를 섞어주는 복합적 중·저 강도 운동이 적절하며, 임신 전 운동 경험이 없는 임산부의 경우 하루 15분 정도의 걷기부터 시작해서 매일 30분 걷기까지 점차적으로 운동시간을 늘려가는 것이 좋습니다. 근골격계 질환이 없다면 임산부는 최소한 주당 150분 정도의 유산소 운동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위의 내용들을 종합해보면,
임신성 당뇨병에 취약한 사람이 있을 수 있으며 임신 전·후로 이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특히 운동요법은 적절한 혈당관리와 체중조절을 위한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습니다. 운동은 임산부에게 부담이 없는 중·저강도 운동이 좋으며 유산소 운동과 근력운동이 모두 필요하지만 특히, 심폐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유산소 운동이 더욱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무엇보다도 주의사항을 숙지하여 부작용이 없는 운동을 꾸준히 실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참고문헌:
1.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Classification and Diagnosis of Diabetes: Standards of Medical Care in Diabetes—2018. Diabetes Care. 2018;41(Supplement 1):S13–S27. doi:10.2337/dc18-s002.
2. Mayo Clinic. Gestational diabetes - Symptoms and causes [Internet]. Mayo Clinic; 2020 [cited 2023 Jun 11]. Available from: https://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gestational-diabetes/symptoms-causes/syc-20355339.
3. Poyatos-León R, García-Hermoso A, Sanabria-Martínez G, Álvarez-Bueno C, Sánchez-López M, Martínez-Vizcaíno V. Effects of exercise during pregnancy on mode of delivery: a meta-analysis. Acta Obstet Gynecol Scand. 2017;96(10):1181–1196.
4.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13. Management of Diabetes in Pregnancy: Standards of Medical Care in Diabetes—2018. Diabetes Care. 2018;41(Supplement 1):S137–S143. doi:10.2337/dc18-s013.
5. Pan D, Wang K, Zhou Z, Liu X, Shen J. FAHP-based Mathematical Model for Exercise Rehabilitation Management of Diabetes Mellitus [Internet]. arXiv [q-bio.QM]. 2022 [cited 2023 Jun 11]. Available from: http://arxiv.org/abs/2201.07884v1
'건강 >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남구 코로나19 백서 (0) | 2024.04.24 |
---|---|
흡연과 당뇨병: 금연해야 하는 이유 (0) | 2023.05.21 |
음주와 당뇨병: 복잡한 관계에 관하여 (1) | 2023.05.13 |
코로나 블루 (2) | 2020.12.01 |
임신한 여성을 위한 운동처방 (0) | 2020.11.30 |